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두이노에서 delay() 함수와 주석 쉽게 이해하기

by AI 세상, 2025. 4. 13.

 

 

아두이노에서 delay() 함수와 주석 쉽게 이해하기

아두이노를 처음 접할 때 자주 나오는 delay() 함수와 주석(comment)은 코딩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요소예요. 이 두 가지를 잘 알면 코딩이 훨씬 더 쉬워져요!


1. delay() 함수란?

delay() 함수는 아두이노가 잠깐 멈추는 시간을 만들어줘요. 시간을 ‘밀리초(ms)’ 단위로 지정하는데, 1000ms = 1초랍니다.

delay(1000);

이 코드는 1초 동안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기다리기를 의미해요.

⏳ 왜 delay()가 필요할까요?

  • LED를 1초 간격으로 깜빡이게 만들기
  • 버튼을 누른 뒤 반응을 잠시 멈추기
  • 센서를 읽고 잠깐 대기한 후 다시 읽기
예시:
아래 코드는 LED를 1초마다 켜고 끄는 동작을 반복해요.
void loop() {
  digitalWrite(13, HIGH); // LED 켜기
  delay(1000);            // 1초 대기
  digitalWrite(13, LOW);  // LED 끄기
  delay(1000);            // 1초 대기
}

⏲️ delay() 함수의 단점은?

delay() 함수는 기다리는 동안 다른 일은 하지 못해요. 그래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고급 프로젝트에서는 millis() 함수를 대신 쓰기도 해요. 하지만 처음 배울 때는 delay()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어요!


2. 주석(Comment) – 나와 남을 위한 메모

주석은 아두이노 코드 안에 쓰는 설명글이에요. 컴퓨터는 이 부분을 무시하고 실행하지 않아요. 주석은 사람이 코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메모예요!

✏️ 주석 쓰는 방법

  • // 한 줄 주석: 한 줄만 설명할 때 사용해요.
  • /* */ 여러 줄 주석: 길게 여러 줄 설명할 때 사용해요.

예시 1 – 한 줄 주석

// 이 코드는 LED를 켜는 코드예요
digitalWrite(13, HIGH);

예시 2 – 여러 줄 주석

/* 
  아래 코드는 LED를 1초 간격으로
  켜고 끄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
digitalWrite(13, HIGH);
delay(1000);
digitalWrite(13, LOW);
delay(1000);

💡 주석이 중요한 이유

  • 시간이 지나서 내가 코드를 다시 봐도 이해할 수 있어요!
  • 친구나 다른 사람이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 복잡한 코드도 설명이 있으면 훨씬 쉽고 친절하게 보여요.

3. 함께 쓰는 예제 코드

아래 코드는 delay()주석을 함께 사용하는 예제예요. LED가 반짝이는 이유를 설명으로 함께 적었어요.

void setup() {
  pinMode(13, OUTPUT); // 13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 (LED 제어용)
}

void loop() {
  digitalWrite(13, HIGH); // LED 켜기
  delay(1000);            // 1초 대기 (1000ms)
  digitalWrite(13, LOW);  // LED 끄기
  delay(1000);            // 다시 1초 대기
}

🔍 마무리 요약

  • delay(ms) : 아두이노를 ms만큼 멈추게 해요 (1000ms = 1초)
  • // : 한 줄 주석, 설명을 한 줄에 적어요
  • /* */ : 여러 줄 주석, 긴 설명을 쓸 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