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두이노 우노 보드 구조 이해하기

by AI 세상, 2025. 4. 5.

 

 

아두이노 우노 보드 구조 이해하기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보면 초록색 기판 위에 여러 가지 부품이 있어요. 버튼, 구멍, 네모난 칩, USB 포트... 이게 다 무슨 역할을 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처음 보는 중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려줄게요!

1. USB 포트

아두이노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부분이에요. USB 케이블로 연결하면 전원도 들어오고,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보드에 보낼 수 있어요.

 

2. 전원잭 (DC 잭)

USB 말고도 배터리나 전원 어댑터로 전기를 줄 수 있어요. 이 잭은 주로 야외나 컴퓨터 없이 쓸 때 사용해요.

 

3. 마이크로컨트롤러 칩 (ATmega328 P)

아두이노의 뇌(두뇌)에 해당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에요. 우리가 입력한 코드를 기억하고, 센서를 감지해서 작동을 지시해요.

여기가 없으면 아두이노는 아무것도 못 해요!

 

4. 디지털 핀 (Digital Pins)

아두이노 우노에는 디지털 0번부터 13번까지 총 14개의 핀이 있어요.

  • LED 켜기
  • 버튼 누르기 감지
  • 부저 소리 내기

이런 역할을 하려면 디지털 핀을 사용해요.

 

5. 아날로그 핀 (Analog Pins)

A0 ~ A5번까지 6개의 아날로그 핀이 있어요. 센서 값처럼 숫자가 계속 바뀌는 데이터를 받을 때 사용해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조도 센서, 가변저항 같은 것들이죠.

 

6. 전원 핀 (Power Pins)

아두이노 보드에는 센서와 부품에 전기를 나눠주는 전원 핀도 있어요.

  • 5V 핀: 5V 전원을 공급해 줌
  • 3.3V 핀: 전압이 낮은 부품에 사용
  • GND 핀: 전기 흐름을 마무리하는 접지

전기 회로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에요.

 

7. 리셋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아두이노가 처음부터 다시 실행돼요. 잘못 동작할 때, 코드 변경 후 테스트할 때 유용하답니다.

 

8. TX / RX 표시등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깜빡이는 작은 불이에요. TX = 보냄, RX = 받음을 뜻해요.

이 불이 깜빡이면 코드가 잘 올라가고 있는 거예요!

 

정리해 볼까요?

아두이노 우노 보드에는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들이 있어요. 이 구조를 알고 나면, 앞으로 센서를 연결하거나 코딩할 때 훨씬 이해하기 쉬워요.

이제 아두이노 보드를 볼 때, 더 이상 어렵게 느껴지지 않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