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아두이노의 개념과 준비물을 공부했다면, 이제 직접 회로를 만들어볼 차례예요!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를 이용해 LED를 켜는 아주 간단한 회로를 구성하고 코딩까지 해볼 거예요.
이 실습을 통해 디지털 출력, 회로 연결, 코드 업로드를 처음으로 직접 경험해 볼 수 있어요.
실습 목표
- LED를 아두이노에 연결하고 불을 켜본다
- pinMode(), digitalWrite() 함수 사용
- 간단한 회로도를 이해하고 구성
준비물
- 아두이노 우노 보드
- USB 케이블
- 브레드보드
- LED 1개
- 저항 220Ω 또는 330Ω
- 점퍼선 2~3개
회로 연결 방법
- LED의 긴 다리(양극)를 브레드보드의 한 줄에 꽂아요.
- LED의 짧은 다리(음극)는 저항을 거쳐 GND로 연결해요.
- 아두이노의 디지털 8번 핀에서 점퍼선을 브레드보드의 LED 양극 쪽으로 연결해요.
- 아두이노의 GND 핀을 브레드보드의 저항 반대쪽에 연결해요.
※ LED는 극성이 있으니 방향을 바꾸지 않도록 주의!
코드 작성하기
이제 Arduino IDE를 열고 아래 코드를 입력해 볼게요.
int ledPin = 8; // LED가 연결된 핀 번호
void setup() {
pinMode(ledPin, OUTPUT); // 핀을 출력으로 설정
}
void loop() {
digitalWrite(ledPin, HIGH); // LED 켜기
}
이 코드는 LED를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하는 아주 간단한 코드예요.
코드 설명
int ledPin = 8;
: 8번 핀에 LED를 연결했다는 뜻pinMode()
: 해당 핀을 '출력용'으로 설정digitalWrite(HIGH)
: 전기를 보내서 LED를 켜는 동작
업로드하기
- USB 케이블로 아두이노를 컴퓨터에 연결
- 상단 ‘업로드’ 버튼(화살표 아이콘)을 클릭
- “업로드 완료” 메시지가 뜨면 성공!
- LED가 켜지면 완성 🎉
다양하게 응용해 보기
delay()
함수를 사용해 깜빡이게 만들기- LED 핀 번호를 13번으로 바꾸고 내장 LED로 확인하기
- 다른 색상의 LED를 연결해 보고 변화를 관찰해 보기
실습 중 흔한 실수
- LED 방향을 반대로 꽂음 (빛이 안 나요!)
- 저항 없이 연결해서 LED가 타버림
- 핀 번호를 잘못 입력해서 동작 안 함
실습이 잘 안 될 때는 회로 연결 상태와 코드 핀 번호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보세요.
마무리하며
이번 실습은 아주 간단하지만, 앞으로 배우게 될 센서 제어, 모터 작동, 자동화의 기초가 되는 실습이에요. 작은 LED 하나를 직접 켜본 경험이 전자회로에 대한 자신감을 만들어줄 거예요.
다음 시간에는 delay() 함수를 활용해 LED를 깜빡이는 실습을 진행할 거예요. 드디어 ‘Blink’ 예제에 도전하는 시간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