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 변수란 무엇인가요? 아두이노 코딩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것이 있어요. 바로 변수입니다. 변수는 컴퓨터가 어떤 정보를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이름표예요. 숫자, 글자, 센서 값 등 여러 정보를 담을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변수의 개념과 아두이노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변수는 왜 필요할까요?예를 들어, 어떤 센서가 보내준 숫자 값을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하려면, 그 값을 어딘가에 기억해야겠죠? 이때 변수에 저장해 두면 코드 어디에서든 쉽게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어요.쉽게 말하면, 변수는 “정보를 담는 상자”예요. 각 상자에는 이름이 붙어 있어서 어떤 정보가 들어있는지 구별할 수 있답니다.변수 선언하기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변수의 자료형과 이름을 정해줘야 해요.int ledPin.. 2025. 4. 15. 시리얼 모니터 사용법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에서 아주 중요한 도구인 시리얼 모니터(Serial Monitor)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시리얼 모니터를 이용하면 아두이노가 보내는 데이터를 컴퓨터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센서값을 출력하거나, 코드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할 때 꼭 필요하답니다!시리얼 모니터란?시리얼 모니터는 아두이노 IDE 안에 있는 기능이에요. 아두이노와 컴퓨터가 텍스트로 대화할 수 있는 창이라고 생각하면 돼요.센서 값을 보거나, 코드의 흐름을 확인할 때 아주 유용해요. 실습 중 문제가 생겼을 때 디버깅 용도로도 자주 사용해요.시리얼 모니터 여는 방법Arduino IDE 상단 메뉴에서 도구 > 시리얼 모니터를 클릭해요.또는 오른쪽 위에 돋보기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도 열려요.창이 열리면, 아두이노가.. 2025. 4. 14. 아두이노에서 delay() 함수와 주석 쉽게 이해하기 아두이노를 처음 접할 때 자주 나오는 delay() 함수와 주석(comment)은 코딩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요소예요. 이 두 가지를 잘 알면 코딩이 훨씬 더 쉬워져요!1. delay() 함수란?delay() 함수는 아두이노가 잠깐 멈추는 시간을 만들어줘요. 시간을 ‘밀리초(ms)’ 단위로 지정하는데, 1000ms = 1초랍니다.delay(1000);이 코드는 1초 동안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기다리기를 의미해요.⏳ 왜 delay()가 필요할까요?LED를 1초 간격으로 깜빡이게 만들기버튼을 누른 뒤 반응을 잠시 멈추기센서를 읽고 잠깐 대기한 후 다시 읽기예시:아래 코드는 LED를 1초마다 켜고 끄는 동작을 반복해요.void loop() { digitalWrite(13, HIGH); // LED 켜기.. 2025. 4. 13. 아두이노 함수 쉽게 배우기: pinMode()와 digitalWrite() 아두이노로 LED를 켜거나 버튼을 눌렀을 때 반응하게 만들려면 pinMode()와 digitalWrite()라는 함수를 꼭 알아야 해요. 이 두 가지 함수는 마치 아두이노에게 "무엇을 어떻게 하라고" 지시하는 말과 같아요.1. pinMode() 함수란?pinMode() 함수는 아두이노의 핀을 입력(input)으로 사용할지, 출력(output)으로 사용할지를 정해주는 함수예요.pinMode(핀번호, 모드);핀번호: 아두이노 보드의 핀 번호 (예: 13)모드: INPUT, OUTPUT, INPUT_PULLUP 중 하나예시:pinMode(13, OUTPUT);→ 13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 (LED를 켜는 데 사용 가능)📌 왜 필요할까?아두이노는 기본적으로 핀이 입력인지 출력인지 몰라요. 그래서 우리가 알려.. 2025. 4. 12. 아두이노의 void setup()과 void loop() 함수 쉽게 이해하기 아두이노를 처음 시작하면 항상 만나게 되는 두 가지 함수가 있어요. 바로 void setup()과 void loop()입니다. 이 두 함수는 아두이노가 어떤 동작을 할지 정할 때 꼭 필요한 친구들이에요.1. 함수란 뭘까?아주 간단히 말하면 어떤 역할을 하는 ‘명령 덩어리’라고 생각하면 돼요.2. void setup() – 아두이노의 시작 준비void setup() { // 여기에 준비 코드를 작성해요}딱 한 번만 실행돼요.핀 설정, 통신 준비 같은 시작 작업을 해요.예시:void setup() { pinMode(13, OUTPUT); // 13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3. void loop() – 아두이노의 반복 작업void loop() { // 여기에 반복할 동작을 작성해요}아두이노가 켜져 있는 동.. 2025. 4. 11. 아두이노 코드 구조 이해하기 아두이노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코드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지난 글에서는 LED를 깜빡이게 하는 간단한 코드를 작성해 봤죠? 이번에는 그 코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각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차근차근 배워볼게요.아두이노 코드의 기본 틀아두이노의 코드는 두 가지 기본 함수로 구성돼요:void setup() { // 여기 있는 코드는 처음 한 번만 실행돼요}void loop() { // 여기 있는 코드는 계속 반복돼요}이 구조는 모든 아두이노 프로젝트의 기본 틀이에요. 어떤 코드를 작성하든, 이 두 함수 안에서 모든 일이 일어나요.setup() 함수란?setup() 함수는 아두이노가 처음 전원이 들어왔을 때 한 번만 실행되는 부분이에요.여기서는 주로 핀 모드 설정이나 초기화 작.. 2025. 4. 10. 이전 1 2 3 4 5 다음